미지의 분포에 대하여 모수에 대한 추정치를 이에 대응하는 통계량(값)으로 구하는 것 좋은 추정량의 기준 Unbiasedness, Efficiency, Consistency, Sufficiency 불편성 단일 값을 계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표본 통계량의 기댓값이 모수의 실제값과 같을 때 추정량이 불편성을 가진다고 한다. 즉, (통계량의 기댓값) = (대응되는 모수값) 인 경우에 해당된다. 효율성 추정량 중에서 최소의 분산을 가지는 추정량이 더 편차가 작기 때문에 좋다고 할 수 있다. 일치성 표본의 크기가 늘어날 수록 표본 통계량이 대응되는 모수를 더 근접하게 추정할 수 있다. 충분성 표본으로 부터 얻은 추정량이 모수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 경우 이를 충분추정량이라 부른다. 점 추정의 방법 점 추정의 ..